본문 바로가기

SECURITY2

악성코드의 분류[정보보안] 악성코드 악성 코드는 컴퓨터 시스템을 손상하거나 사용 불능 상태로 만들도록 설계된 악성 소프트웨어 유형으로, 바이러스, 웜, 트로이 목마, 애드웨어, 스파이웨어, 랜섬웨어 등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동작에 의한 분류 바이러스 • 사용자 컴퓨터 내에서 사용자 몰래 프로그램이나 실행 가능한 부분을 변형하여 자신 또는 자신의 변형을 복사하는 프로그램이다. • 가장 큰 특성은 복제와 감염이, 다른 네트워크의 컴퓨터로 스스로 전파되지는 않는다. 웜 •인터넷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컴퓨터에서 컴퓨터로 전파되는 악성 프로그램이다. • 윈도우의 취약점 또는 응용 프로그램의 취약점을 이용하거나 이메일이나 공유 폴더를 통해 전파되며, 최근에는 공유 프로그램(P2P)을 이용하여 전파되기도 한다. •바이러스와 달리 스스로 전.. 2023. 11. 3.
보안기초 - 정보보안의 3가지 요소 정보보안 3가지 요소 기밀성(Confidentiality) 무결성(Integrity) 가용성(Availability) 1) 기밀성(Confidentiality) 기밀성이란 특정 정보에 대해서 허가된 사용자 또는 대상에 대해서만 확인이 가능해야 한다. 즉, 허가받지 않은 사용자 혹은 대상에 대해서는 접근이 되지 않아야 하며, 만약 접근이 된다면 해당 정보에 대해서는 기밀성이 깨졌다고 한다. 2) 무결성(Integrity) 무결성이란 특정 정보에 대해서 허가된 사용자 또는 대상에 대해서만 수정 및 삭제등 가능해야 한다. 즉, 허가받지 않은 사용자 혹은 대상이 특정 정보에 대해서 수정 및 삭제가 되어야 하지 않아야 하며, 만약 수정 및 삭제가 이뤄진다면 해당 정보에 대해서는 무결성이 깨졌다고 한다. 3) 가용.. 2023. 11. 3.
728x90